허용전류에 따른 전선의 굵기 선정 2편 - 허용전류 표
이 게시글을 읽기 전에 반드시
전선의 종류와 공사방법의 이해 게시글을 확인하고 오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https://pikachuu.tistory.com/m/6
저압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
저는 저압 현장을 위주로 시공하므로 고압이나 특고압에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는 잘 알지 못하여 저압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1. 절연전선 1) 일반용 단심 비닐절
pikachuu.tistory.com
IV와 HIV, HFIX의 구별도 위 링크를 참고
https://pikachuu.tistory.com/m/11
허용전류에 따른 전선의 굵기 선정 1편 - 공사방법의 이해
수용가에서 사용할 부하설비나 계약용량에 따라서 메인 차단기의 용량을 선정할 것입니다. 메인 차단기 용량을 결정했다면 그 차단기 용량보다 허용전류가 크도록 전선의 종류나 굵기를 선정
pikachuu.tistory.com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정말 많은 허용전류표가 있는데, 공사방법에 따른 허용전류표를 보시길 바랍니다.
다른 허용전류표는 공사방법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인 전선의 허용전류 규격을 나타낸 표거나
가공방식에 의한 공사라고 가정하고 만든 허용전류표가 대부분입니다.
같은 전선이라도 시공방법에 따라 허용전류가 다릅니다.
공사방법 A1, A2, B1, B2...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시다고 생각하신다면 1편을 먼저 보고 와 주시길 바랍니다.
1. 단상 iv절연전선의 공사방법에 따른 허용전류

PVC절연물, 허용 온도 70도의 iv, kiv, vct 등을 사용하여 시공했을 때 위의 표를 보고 허용 온도를 파악하시면 됩니다.
만약 분전함에서 iv 2.5sq로 콘크리트 벽을 통하여 콘센트로 갔다고 가정합니다.
그러면 공사방법 B1을 적용하면

표의 도체 단면적 2.5sq과 공사방법 B1이 교차하는 24A가 iv의 허용전류가 됩니다.
따라서 iv를 보호하기 위한 차단기의 용량은 24A보다 적은 20A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만약 같은 전선이 단열재를 통과한다고 가정합니다.
그럼 공사방법 A1이므로 허용전류가 19.5A라서 20A 차단기로 보호할 수 없습니다.
(공사방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시다면 위 링크에 있는 1편 내용을 읽어보고 오시길 바랍니다.)
이 때는 iv 4sq 전선 또는 HFIX 2.5sq로 교체하시면 됩니다.
전선의 종류, 단상 또는 3상, 공사방법을 구별하지 않고 20A는 2.5sq를 써도 되고 50A는 6sq를 써도 된다는 식으로 단순히 암기하시는 것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2. 3상 iv절연전선의 공사방법에 따른 허용전류

PVC절연물, 허용 온도 70도의 iv, kiv, vct 등을 사용하여 시공했을 때 위의 표를 보고 허용 온도를 파악하시면 됩니다.
3상이므로 열을 내는 전선이 하나 더 있다는 것이므로 단상에 비해 허용전류가 낮습니다.
3. CV케이블, HIV 및 HFIX절연전선의 공사방법에 따른 허용전류

XLPE 절연인 CV케이블뿐만 아니라 허용 온도가 90도인 HIV, HFIX전선 등을 사용 시 위 표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만약 상가의 메인 차단기로 3상 50A를 사용하고 공사방법이 지중 전선로 D1이라고 가정합니다.
몇 sq의 CV케이블을 사용해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공사방법 D에서 3상을 봅니다.
메인 차단기가 50A이므로 허용전류가 50A보다 큰 최소 굵기는 61A인 10sq입니다.
따라서 cv 10sq를 사용하여 시공해주시면 됩니다.
'같이 공부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압 가공인입선과 관련된 법규 살펴보기 (0) | 2022.11.08 |
---|---|
버튼 색깔로 알아보는 누전차단기 (0) | 2022.11.07 |
허용전류에 따른 전선의 굵기 선정 1편 - 공사방법의 이해 (0) | 2022.11.06 |
누전차단기가 떨어질때 선 두개를 바꾸면 차단기가 떨어지지 않는 이유 (0) | 2022.11.06 |
집에서 차단기가 떨어졌을때 원인 찾는법 (0) | 2022.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