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차단기가 떨어졌을때 원인 찾는법
본문 바로가기

같이 공부해요

집에서 차단기가 떨어졌을때 원인 찾는법

전기차단기가 떨어지면 주변 전기공사업체를 부르셔서 점검받으셔서 문제를 찾아야 합니다.

이 글은 전기일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분들을 위해 노하우를 공유하고 저도 공유받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1. 메인 차단기가 떨어졌는지 분기 차단기가 떨어졌는지 확인합니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에는 메인 차단기가 있고 분기 차단기가 있습니다.

보통 메인 차단기가 분기 차단기보다 크기가 크거나 정격전류가 큽니다.

사진상으로는 제일 왼쪽에 있는 배선용 차단기 50A가 메인 차단기이고 우측에 있는 누전차단기 20A가 분기 차단기입니다.

집에서 쓰는 전기를 여러 개의 회로로 분리해놓은 게 분기 차단기이고

분기 차단기를 한꺼번에 모두 차단하기 위한 것이 메인 차단기입니다.

분기 차단기가 떨어진다면 그 분기 차단기를 내렸을 때 전기가 안 들어오는 부분만 점검하시면 됩니다.

전체 전등만 안 들어올 수도 있고, 한 방의 콘센트와 전등이 안 들어올 수도 있고, 분기회로를 어떻게 구성했냐에 따라서 다를 것입니다.

메인 차단기가 떨어진다면 더 여러 가지 요소를 고려해야 되겠습니다.

if) 차단기가 전부 올라가 있는데 집이 정전되었다면?

혹시 외부나 계량기 쪽에 메인 차단기가 있는지 확인하여 차단기가 올라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차단기가 전부 올라가 있는데 정전됐다면 차단기 1차 측, 2차 측 단자의 전압을 재봅니다.

전압이 0V 거나 낮게 측정된다면 차단기에서 전선을 분리해서 전압을 재봅니다.

전선에서 전압이 잘 나오는데 차단기에서 전압이 안 나오면 차단기 단자 볼트가 풀렸거나 차단기가 불량으로 판단되니 볼트를 조여주거나 차단기를 교체합니다.

전선에서 전압이 안 나오면 계량기 쪽으로 가셔서 전선에서 전압을 재봅니다.

계량기 1차 측 전선에서 전압이 잘 나오지 않으면 한전 파워 퓨즈가 나간 것으로 판단됩니다. 수용가에서 점검을 완료하고 조치를 취한 후에 한전에 전화합니다.

계량기 1차 측 전선에서 전압이 나오는데 계량기  2차 측 전선에서 전압이 나오지 않으면 계량기 자체 불량으로 판단됩니다. 한전에 전화합니다.

계량기 2차 측 전선에서 전압이 나오는데 내부 메인 차단기 1차 측 전선에서 전압이 나오지 않으면 집으로 인입되는 선이 문제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2. 떨어진 차단기가 배선용 차단기인지 누전차단기인지 확인합니다.


배선용 차단기라면 과부하 또는 단락에 의한 차단, 또는 차단기 자체 불량에 의한 차단 등으로 추정할 수 있을 것입니다.

누전차단기라면 누전, 과부하, 단락, 또는 차단기 자체 불량에 의한 차단 등으로 추정할 수 있습니다.



3. 절연저항을 측정합니다.


분기 차단기마다 절연저항을 측정합니다. 절연에 이상이 없다면 과부하나 단락에 의한 차단으로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과부하에 의한 차단은 차단기를 투입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에 차단기가 떨어지고

단락에 의한 차단은 차단기를 투입하자마자 큰 소리와 함께 차단되거나 특정 기기를 켜자마자 차단되는 식입니다.

과부하에 의한 차단이라면 전류를 측정해보고 전류를 많이 소비하는 기기를 동시에 작동시키지 말라고 조언해주거나 그런 기기들의 회로를 분리시켜 전류를 분산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단락에 의한 사고라면 최대한 차단기를 투입하지 않으면서 모든 기기 및 전로를 점검해본 뒤 문제점을 해결하고 차단기를 투입합니다.

원인을 추정할 수 없다면 차단기 2차 측을 분리해보고 차단기를 투입해봅니다. 2차 측을 분리했는데도 차단기가 올라가지 않다면 차단기 자체 불량일 확률이 높으므로 차단기를 교체한 후에 재투입해봅니다.

절연에 이상이 있다면 누전에 의한 차단으로 판단됩니다.


4. 누전점 찾기


만약 1번 분기회로가 누전된다면 먼저 분기회로 2차 측 전선을 분리합니다.

그리고 분리된 차단기 2차 측의 절연을 재보고
분리된 전선의 절연도 재봅니다.

분리된 전선의 절연은 정상인데 차단기 2차 측 절연이 낮다면 차단기 자체 문제이므로 차단기를 교체한 뒤 재투입해봅니다.

분리된 전선의 절연이 불량이면 전로와 부하들에서 그 문제를 찾아야 합니다.

1번 분기회로에 있는 부하를 최대한 분리해야 합니다.

콘센트에서 플러그를 전부 뺍니다.

다시 한번 절연을 쟀을 때 절연이 정상이면 콘센트에서 뽑은 부하 중 하나가 불량이거나 콘센트의 불량입니다.

어떤 기기를 꼽았을 때 절연이 낮아지는지, 아니면 어떤 콘센트에 꼽았을 때 절연이 낮아지는지를 하나씩 파악합니다.

다 뽑아도 절연저항이 낮다면 전로의 문제일 가능성이 큽니다.

육안으로 전등이나 콘센트의 상태를 확인하면서 의심이 가는 개소를 먼저 점검합니다.

분전함에서 제일 먼저 어디로 가서 어디에서 끝나는지 회로를 대충 파악하고 하나씩 분리해가면서 누전으로 의심되는 범위를 최소화해가며 누전점을 찾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