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50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합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지락 차단장치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1. 누전차단기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지락차단장치는 누전차단기입니다.
다른 지락차단장치가 아닌 반드시 누전차단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주거시설이나 숙박시설 등의 세대 내 부분에는 반드시 주택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되고
32A 이하의 콘센트용 분기회로는 반드시 정격감도전류 30mA 이하의 누전차단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2. ZCT+EOCR

EOCR(EMPR)은 전자식과전류계전기로 모터에 과전류가 흐르면 차단기나 MC를 트립시켜 전원을 차단시켜서 모터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예전엔 과부하에 대한 보호만 가능하던 THR 열동형계전기를 사용했는데, 그 대체품으로 나온 것입니다.
EOCR은 제품에 따라 과부하, 저부하, 결상, 역상, 불평형, 지락, 단락, 구속 등 여러 기능과 조정범위가 모터 특성에 맞게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EOCR이 지락 보호의 기능을 겸한다면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것 대신에 지락보호장치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만약 EOCR 내부에 ZCT가 내장되어있는 제품이라면 별도의 ZCT를 사용할 필요가 없지만
일반적으로는 ZCT를 설치하여 EOCR의 Z1, Z2 접점에 연결해줍니다.
ZCT는 영상변류기로, 모터에 들어가는 케이블을 전부 통과시킵니다.
정상상태에서는 ZCT에 통과하는 전류의 벡터 합이 0이나
누전상태에서는 누설전류의 크기만큼 차전류가 생기므로 이를 검출해내는 역할을 합니다.
ZCT가 검출하고, EOCR이 신호를 받아 MC나 MCCB를 차단시키는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EOCR이 지락보호기능이 있는지 확인하고 ZCT를 설치하고 ZCT와 MC 또는 MCCB에 정상적으로 연결돼야 지락차단장치의 기능을 합니다.
정상적으로 지락 보호를 하는지 확인하려면 ZCT를 통과하는 선 중 하나만 뺀 뒤 모터를 동작시키면
ZCT를 통과하는 전류에 불평형이 생긴 것으로 감지하여 모터를 정지시킬 것입니다.
3. 인버터

인버터는 모터 출력 전압과 주파수를 조절하는 것으로 모터를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단순히 모터의 정격에 따라 같은 속도로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모터의 속력을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해야 할 때 사용합니다.
인버터 자체에도 지락을 보호하는 기능이 있는 제품이 있습니다.
지락이 발생하면 FAULT 상태가 되어 모터의 전원을 차단하여 보호하는 것입니다.
지락 보호 기능이 있어야 되고 이 기능을 설정해야 지락차단장치로서 사용 가능합니다.
'같이 공부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상차단기를 설치 또는 교체할때 주의할 점(선입후절, 역회전) (0) | 2022.11.12 |
---|---|
소방설비나 엘리베이터는 누전차단기를 써야하는가 (0) | 2022.11.11 |
누설전류 측정방법 및 기준 (2) | 2022.11.09 |
저압 가공인입선과 관련된 법규 살펴보기 (0) | 2022.11.08 |
버튼 색깔로 알아보는 누전차단기 (0) | 2022.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