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접지저항 측정법 (3단자 측정법, 간이 측정법) 1. 접지저항이란? 전기를 사용하는 기기가 누전되는 경우 그 누설전류가 기기의 외함을 통하여 흐릅니다. 이 상태에서 사람이 손으로 만지면 사람의 신체를 통하여 전류가 흘러 감전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기의 외함을 접지시켜주는데, 충분히 낮은 저항으로 땅으로 연결시켜줍니다. 전류는 저항이 작은 곳으로 흐르려고 하기 때문에 저항이 충분히 큰 사람의 신체보다는 접지선을 통하여 누설전류가 흐릅니다. 접지를 하기 위해서 땅에 접지극을 박고 접지선으로 연결하여 접지 대상물에 접지선을 연결하는데, 접지저항이란 접지선과 접지극, 접지극과 흙과의 접촉 저항과 전극 주위의 대지 저항의 합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2. 3 단자 접지저항 측정법 접지저항의 측정은 접지 저항계를 이용합니다. 접지저항 측정의 가장 기본적인 .. 절연저항 측정법, 누전 확인 전기를 처음 공부하시거나 이론은 아는데 실무가 부족하신 분들, 실제 현장에서 일하시는 분들과 함께 공부하고자 합니다. 실무에 근거하였으나 학문적으로 전문적인 글이 아니므로 참고하여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류는 전선의 도체 부분을 통해서 흐릅니다. 그 이외의 방향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전류가 통하기 힘든 절연체로 감싸 져 있습니다. 선풍기의 코드를 꼽으면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알지만 멀쩡한 코드를 맨손으로 잡아도 감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에 코드의 피복이 절단되거나 찍히는 등 손상된다면 도체 부분이 노출되어 전류는 흐르지 말아야 할 곳으로 흐를 것입니다. 이런 상태를 누전된다고 표현합니다. 절연이 잘 되어있으면 누전이 거의 없으며 절연이 잘 되어있지 않을수록 누전이 심해질 것입니다. .. 학점은행제를 이용한 빠르게 기사 자격증 취득하는 방법 전문대학교 졸업예정자분들이 취업 등을 위해서 빠르게 기사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합니다. 저도 같은 방법으로 졸업하자마자 다음 해 1회 차 기사 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전문대학교 재학 중에 전공 산업기사를 1개 이상 취득하고 빠르게 기사 자격증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방법임을 알려드립니다. 원래 전문대학교 출신 학생이 기사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2학년 재학 중에 산업기사를 따고 졸업 후 1년의 경력을 쌓아서 기사를 취득해야 합니다. 졸업하고 바로 취업하기도 쉽지 않을뿐더러 1년이란 경력을 쌓아야 하고, 일하는 동안 전공 내용을 까먹어서 기사 공부를 다시 한다는 건 쉽지 않죠. 그래서 기사 응시자격 중 [4. 관련학과의 대학 졸업자 등 또는 그 졸업예정자] 를 이용할 건데요. 졸업예..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