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이야기
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5)
허용전류에 따른 전선의 굵기 선정 2편 - 허용전류표 허용전류에 따른 전선의 굵기 선정 2편 - 허용전류 표 이 게시글을 읽기 전에 반드시 전선의 종류와 공사방법의 이해 게시글을 확인하고 오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https://pikachuu.tistory.com/m/6 저압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 저는 저압 현장을 위주로 시공하므로 고압이나 특고압에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는 잘 알지 못하여 저압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1. 절연전선 1) 일반용 단심 비닐절 pikachuu.tistory.com IV와 HIV, HFIX의 구별도 위 링크를 참고 https://pikachuu.tistory.com/m/11 허용전류에 따른 전선의 굵기 선정 1편 - 공사방법의 이해 수용가에서 사용할 부하설비나 계약용량에 따라서 메인 차단기..
허용전류에 따른 전선의 굵기 선정 1편 - 공사방법의 이해 수용가에서 사용할 부하설비나 계약용량에 따라서 메인 차단기의 용량을 선정할 것입니다. 메인 차단기 용량을 결정했다면 그 차단기 용량보다 허용전류가 크도록 전선의 종류나 굵기를 선정해야 합니다.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여 전선의 피복이 녹아버려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그 전선이 녹지 않고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를 계산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허용전류는 공사방법에 영향을 받는데, 공사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공사방법 C 공사방법 C는 벽에 케이블을 고정시킨 공사방법입니다. 공기 중에서는 열의 발산이 잘되기 때문에 허용전류가 높습니다. 절연전선은 관에 넣어 시공해야 하므로 예시에 절연전선이 아닌 케이블만 있습니다. 2. 공사방법 B1, B2 공사방법 B1, B2에는 여러 가지..
누전차단기가 떨어질때 선 두개를 바꾸면 차단기가 떨어지지 않는 이유 누전차단기가 트립될 때 차단기에 물려있는 핫상과 중성선을 바꿔주는 것으로 차단기가 올라갈 때도 있습니다. 그 원리를 알아보겠습니다. 1. 누전차단기의 동작원리 누전차단기에는 ZCT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정상 상태에서 내부에서 두 개의 선이 ZCT를 통과하여 들어오는 전류와 나오는 전류의 크기가 같다면 각 전류가 만들어내는 자속이 상쇄되어 ZCT는 아무것도 검출해내지 못합니다. 그러나 누전이 발생한 상태라면 들어오는 전류와 나오는 전류의 크기가 달라 전류의 차가 생기고, ZCT는 이 차전류에 의한 자속을 검출하여 누전차단기가 누전이라고 판단하게 합니다. 2. 누전차단기의 정격 부동작전류와 정격감도전류 ZCT가 차전류를 검출한다고 누전차단기가 항상 떨어지지는 않습니다. 우리가 전기를 사용하게 되면 많던 적던..
집에서 차단기가 떨어졌을때 원인 찾는법 전기차단기가 떨어지면 주변 전기공사업체를 부르셔서 점검받으셔서 문제를 찾아야 합니다. 이 글은 전기일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분들을 위해 노하우를 공유하고 저도 공유받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1. 메인 차단기가 떨어졌는지 분기 차단기가 떨어졌는지 확인합니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에는 메인 차단기가 있고 분기 차단기가 있습니다. 보통 메인 차단기가 분기 차단기보다 크기가 크거나 정격전류가 큽니다. 사진상으로는 제일 왼쪽에 있는 배선용 차단기 50A가 메인 차단기이고 우측에 있는 누전차단기 20A가 분기 차단기입니다. 집에서 쓰는 전기를 여러 개의 회로로 분리해놓은 게 분기 차단기이고 분기 차단기를 한꺼번에 모두 차단하기 위한 것이 메인 차단기입니다. 분기 차단기가 떨어진다면 그 분기 차단기를 내렸을 때 ..
전기설비기술기준 판단기준 -> KEC 주요 개정사항 기존 전기설비기술기준이 2022년부터 KEC로 대체되면서 바뀐 핵심적인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1. 저압 기준의 변경 KEC111.1에 따라 저압의 범위가 확대되었습니다. 기존 저압은 교류 600V 이하 직류 750V 이하였다면 KEC에 따른 저압의 기준은 교류 1000V 이하 직류 1500V 이하입니다. 2. 전선 식별법 국제표준화 (KEC 121.2) RSTN : 흑색 적색 청색 백색 -> 갈색 흑색 회색 청색 접지 : 녹색 -> 녹색+황색 교차 3. 접지 굵기 (KEC 140) 기존엔 차단기 정격전류의 0.0496을 곱한 값을 접지선의 굵기로 정했습니다. KEC에 따른 접지선의 굵기는 상도체 S의 굵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KEC에서 접지선의 종류는 접지도체, 보호도체로 구분됩니다. 접지도체는 접지..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선관의 종류 1. CD관 합성수지관의 한 종류로 주름관이라고도 부릅니다. PVC 재질이고 관의 주름 때문에 가요성이 매우 좋아 배관작업이 용이합니다. 콘크리트 내 직접 매립하여 시공하는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난연 CD관 일반 CD관과 외관상 같으나 난연성이 좋은 자재입니다. 콘크리트에 묻어서 시공하거나 옥내에 노출시켜 시공합니다. 옥측이나 옥외에 시설할 수 없습니다. 22년 이후 전기설비기술기준이 KEC로 변경되면서 가장 논란이 되었던 전선관입니다. 원룸이나 아파트의 화장실같이 천장 내에 공간이 있는 이중 천장의 구조에서 사용할 수 없도록 법이 강화되었습니다. 3. 1종 금속제 가요 전선관(SF관) 현장에서는 가요 전선관, 후렉시블, SF 등으로 부릅니다. 원래는 소방 감지기 회로에 주로 사용하던 관인..
저압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IV, HIV, HFIX, KIV 구별방법) 저는 저압 현장을 위주로 시공하므로 고압이나 특고압에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는 잘 알지 못하여 저압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1. 절연전선 1)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전선(iv)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전선으로, 주로 iv라고 부릅니다. i : 절연(insulated) v : 비닐(vinyl) 절연물은 PVC이고 도체 허용 온도는 70℃입니다. 옥내배선에 사용되는 선으로 iv는 단독으로 노출하여 시공할 수 없고 애자 사용공사, 합성수지관, 가요 전선관, 금속관, 덕트 등에 넣어서 시공합니다. 육안으로는 다른 절연전선이랑 구별하기 힘드나 60227 KS IEC 01 이라고 써진 절연전선이 이것입니다. 내부에 소선이 하나면 단선이고 여러 개면 연선입니다. 소선이 많을수록 구부러지기 쉬워서..
핫상(RST)과 중성선(N)라인 찾는 3가지 방법 1. 핫상과 중성선 한전에서 공급되는 공급방식에는 단상과 3상이 있습니다. 3상은 R, S, T상과 N선 총 4가닥의 선이 들어오고 단상은 R, S, T상 중 하나의 선과 N선 총 2가닥의 선이 들어옵니다. R상, S상, T상의 3개의 선을 각각 전력선, 핫상, 하트상(HOT LINE)이라고 표현하고 N선을 중성선, 뉴트럴(Neutral) 또는 현장에서는 N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엄밀히 말하자면 중성선은 '상'은 아닙니다. 앞선 포스트에서 설명한 절연저항,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중성선을 찾아 측정할 수 있다. 2. 전선 색깔을 이용한 중성선 찾기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른 22년도 이전 건축물의 전선 색깔은 R상 : 흑색 S상 : 적색 T상 : 청색 N선 : 백색 KEC에 따른 22년도 이루의 건축물의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