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KEC 접지시스템의 구성요소(접지도체, 보호도체, 보호등전위본딩도체 등 구별)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KEC로 바뀌었습니다. KEC 접지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용어들이 너무 서로 비슷하면서도 어렵고 생소하여 꼭 짚고 넘어가야 할 것 같습니다. 1. 접지극 설비를 접지하기 위해서 금속제 외함을 땅에 연결해야 합니다. 이때 대지에 직접 구리봉이나 구리판을 땅에 묻고 선을 연결하여 지상으로 빼냅니다. 이때 땅에 묻힌 구리봉이나 구리판이 접지극입니다. 일반적으로 땅에 깊게 묻을수록 대지와 접촉하는 면적이 많아지므로 접지저항이 낮아집니다. 충분히 낮은 저항을 얻기 위해서 여러 개의 접지극을 땅에 묻고 서로 병렬연결하기도 합니다. KEC142.2(접지극의 시설 및 접지저항)에 따르면 고압 이상 전기설비의 접지극은 0.75m 이상의 깊이로 매설하고 저압은 매설 깊이의 기준이 정해져 있지 않습니다. 2.. 3상차단기를 설치 또는 교체할때 주의할 점(선입후절, 역회전) 1. 상이 바뀌지 않도록 설치 또는 교체 3상 부하의 대부분은 모터 부하일 텐데요 모터는 3상의 연결 순서에 따라 회전방향이 결정됩니다. 3상 중 선 두 개를 바꾸면 상회전방향이 바뀌면서 모터의 회전 방향이 바뀝니다. 의도적으로 회전 방향을 바꾸려는 게 아니라면 3상을 올바르게 연결해야 합니다. 처음 설치하는 경우 상회 전방향을 체크하시고 연결 후에 방향 테스트를 해봐야 하며 차단기만 교체하시는 경우에는 처음 전선 연결 상태를 기억해놓거나 전선에 표시해놨다가 차단기 교체 후 1차 측, 2차 측 같은 색깔의 선으로 짝지어 같은 단자에 연결하면 됩니다. 모터가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회전한다면 이송 롤러라면 혼자 물체를 반대로 옮기고 펌프는 흡입과 이송이 바뀌는 등으로 모터의 코일이 소손될 수 있습니다. 2.. 소방설비나 엘리베이터는 누전차단기를 써야하는가 화재가 났을 때 스프링클러 등 소방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해야 화재의 확산을 막거나 소화시킬 수 있습니다. 그리고 비상시에는 비상조명이 켜져야 하고 엘리베이터가 작동되어야 사람들이 대피를 하거나 소방관들의 소화 및 구출 작업을 원활히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화재로 전선이 타서 누전으로 인해 누전차단기가 떨어지면 소방설비나 엘리베이터의 전원이 차단되므로 사고의 피해가 확산되니까 누전차단기를 사용하면 안 되는 것이 아니냐 의문을 가질 수 있습니다.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지 아닌지 알아보겠습니다. KEC211.2.4의 제1규정에 따르면 소방설비나 엘리베이터는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50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기구이므로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무조건 누전차단기를 시설해야 하는 게 맞습니다. 근데 제2규정에 따르.. 누전차단기를 대체할 지락차단장치의 종류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50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지락이 생겼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합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지락 차단장치의 종류를 알아보겠습니다. 1. 누전차단기 가장 흔하게 사용하는 지락차단장치는 누전차단기입니다. 다른 지락차단장치가 아닌 반드시 누전차단기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주거시설이나 숙박시설 등의 세대 내 부분에는 반드시 주택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되고 32A 이하의 콘센트용 분기회로는 반드시 정격감도전류 30mA 이하의 누전차단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2. ZCT+EOCR EOCR(EMPR)은 전자식과전류계전기로 모터에 과전류가 흐르면 차단기나 MC를 트립시켜 전원을 차단시켜서.. 누설전류 측정방법 및 기준 안전관리자는 전기안전관리자의 직무에 관한 고시 제3조에 따라 사업장을 점검하고 안전관리규정을 작성해야 합니다. 그 내용에는 절연저항, 접지저항, 누설전류 측정 등이 있는데 이 중 누설전류의 측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누설전류 관련 법규 21년도 이전 건축물에 대해서는 KEC가 아닌 전기설비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점검하여야 합니다.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7조에 의하면 저압 전선로의 누설전류가 전선 1 조당 최대 공급 전류의 1/2000을 넘지 않아야 한다고 합니다. 이것 때문에 아파트의 세대의 단상 220V 계약용량이 3KW라면 최대공급전류는 3000÷220 = 13.6A이고 13.6 * 1/2000 * 단상 2조 = 13.6mA이므로 누설전류의 측정값이 13.6mA이하면 되는 것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저압 가공인입선과 관련된 법규 살펴보기 저압 가공 인입선 공사 시 참고하여야 할 법규를 같이 공부해보겠습니다. 가공 인입선이란 수용가의 인입구까지 공중을 통해서 배선하여 전기를 공급하는 방법입니다. 1. 높이 규정과 조가용선 KEC 221.1.1에 따르면 저압 인입선 공사에 사용할 수 있는 전선은 케이블과 절연전선입니다. 절연전선에는 일반적으로 DV를 사용하고 케이블에는 CV를 사용합니다. 단, 케이블로 시공하는 경우에 절연전선보다 무겁기 때문에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조가용선을 시설해야 합니다. 조가용선은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철선으로 케이블과 나란히 시공합니다. 그리고 행거 50cm 이하 간격 또는 금속 테이프 20cm 이하의 간격으로 지지합니다. 단, 케이블의 길이가 1m 이하로 짧은 경우에는 조가 하지 않아도 됩니다. 조가용선 또한 K.. 계좌개설 20일 제한 날짜 확인하는법 요즘 예적금 특판 상품이 쏟아지고 있어요. 저도 10월 말쯤에 7%짜리 적금을 들었었는데 2주도 안 지난 지금 10%짜리 적금 특판이 쏟아지네요. 빨리 더 좋은 상품을 가입하고 싶은데 계좌 개설 20일 제한에 걸리신 분들을 위해서 내 20일 제한은 언제 끝나는지 조회해볼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하고 싶어요. 참고로 20일이란 주말과 빨간 날을 제외한 영업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1. 마지막에 개설한 입출금계좌의 날짜를 아는 경우 마지막에 개설한 입출금계좌와 예적금 계좌의 날짜가 같은 경우에 토스에서 자산 추가로 해당 예적금 계좌를 추가하신 다음에 예적금을 클릭하셔서 보시면 예적금 시작 날짜가 적혀있습니다. 제 경우엔 10월 17일이라 적혀있네요. 카카오톡을 켜고 상단에 돋보기 모양 클릭합니다. 카카오 뱅크 고.. 버튼 색깔로 알아보는 누전차단기 1. 녹색 버튼 누전차단기 누전차단기는 원래 지락사고 시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에 맞게 녹색 버튼의 누전차단기는 딱 지락 보호만 합니다. 과전류에 대한 보호는 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누전차단기 후단에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해줘야 지락뿐만 아니라 과전류를 보호해줄 수 있습니다. 과전류 차단기의 종류는 퓨즈와 배선용 차단기가 있습니다. 사진에 누전차단기 후단에 설치한 것은 커버나이프 스위치로 내부 단자에 퓨즈를 연결하여 사용합니다. 사진에 누전차단기 2차 측에 퓨즈를 걸치지 않고 나가는 라인(파란선과 검정선)은 누전에 대한 보호만 되는 것입니다. 현재는 단종되어 나오지 않는 것으로 압니다. 아주 예전의 차단기라 수명이 다했을 수도 있으니 차단기 교체를 권해드립니다. 2. 적색 버튼 누전차단기 지락 보호뿐..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