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터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하는 계전기에는 열동 계전기 THR과 전자식과전류계전기가 있습니다.
각각의 특징과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열동 계전기(THR)

1) 1,2차 측 단자
열동 계전기는 Thermal Overload Relay로
열로 동작하는 과전류 계전기입니다.
1차 측 3 단자에 전원 RST상이 연결되고
2차 측 3 단자에 모터와 연결됩니다.
내부에 바이메탈이라는 온도 특성이 다른 두 개의 얇은 쇠붙이를 붙여놓은 금속이 들어가 있는데
온도가 높아지면 두 금속의 팽창률의 차이로 벌어지면서 접점이 개폐되는 원리로 동작합니다.
2) a, b접점
접점이 개폐되면서 직접 모터의 대전류를 차단기 시키는 게 아니라
b접점이 개방되면서 MC로 들어가는 코일의 제어회로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입니다.
반대로 a접점은 닫히면서 과부하를 표시하는 OL등과 연결하여 모터가 과부하됐음을 알립니다.
3) 자동/수동 설정 노브
자동/수동 노브는 과부하로 THR이 동작했을 때
릴레이를 복구시켜 다시 모터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릴레이가 자동적으로 복구될 것인지 사람이 직접 복구시킬 것일지를 정합니다.
A(Auto, 자동)로 돌리면 열동 계전기는 자동으로 복구되고
M(Manual, 수동)으로 돌리면 THR이 동작했을 때 트립 버튼이 튀어나오는데, 사람이 직접 트립 버튼을 눌러서 복구시켜야 다시 모터를 운전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과부하로 열동 계전기가 동작했을 때 모터를 점검하고 이상 없음을 확인한 뒤에 복구시켜야 하므로 M으로 설정합니다.
4) 전류 설정 노브
과부하 전류를 설정하는 노브로, 사진에서는 설정한 1.6A의 전류가 흐르면 열동 계전기가 동작합니다.
일반적으로 모터 정격전류의 1.15~1.2배로 설정합니다.
모터의 명판을 보고 정격전류를 파악한 후에 그 값에 1.15~1.2배를 곱한 값으로 설정하시면 됩니다.
열동 계전기에 따라 세팅할 수 있는 전류의 범위가 다르므로 모터에 맞게 구매하시면 됩니다.
한번 설정한 전류 세팅은 전문가가 아니라면 모터가 손상될 수 있으니 웬만하면 임의적으로 높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 전자식 과전류 계전기(EOCR)

THR보다 설정할 수 있는 값이 많아 보이는데요
일반적으로는 LOAD와 O-TIME 및 D-TIME을 설정할 수 있는 계전기이고
제품에 따라 역상, 지락 보호 등을 지원합니다.
THR이 바이메탈을 이용한 기계적 동작을 하는 계전기라면
EOCR은 내부에 반도체가 들어있어 전자식으로 동작을 하는 계전기입니다.
1) CT
모터의 전원선 3 선중 두 선을 통과시켜 모터의 전류를 측정합니다.
2) 전원 단자
EOCR은 THR과 다르게 전자식으로 동작하다 보니까 별도의 전원을 공급해줘야 합니다.
단자 A1, A2에 전원을 연결합니다.
3) 전류 설정 노브(LOAD)
THR과 마찬가지로 모터 정격전류의 1.15~1.2배로 설정합니다.
또는
노브를 최대치로 올립니다.
모터의 정상운전 상태에서 노브를 점점 낮추다가 어느 순간 OL 등이 점등됩니다.
이때가 모터의 정격전류로 생각하고
이 상태로 노브를 살살 높여서 OL이 소등되는 때를 세팅값으로 정합니다.
주의하실 점은
이 방법을 모터의 무부하 또는 저부하 상태에서 설정하시면 정격 부하 상태에서 EOCR이 동작할 수 있으며
모터의 과부하 상태에서 설정하시면 실제로 운전 중에 항시 과부하 상태가 되므로 모터가 소손됩니다.
4) 기동 지연시간(D-TIME) 노브
Delay time 노브로 모터의 기동 시간을 설정하는 노브입니다.
모터는 기동시에 정격전류의 5~8배의 기동 전류가 흐릅니다.
기동이 끝나고 운전상태에서는 낮은 전류가 흐르지요.
그런데 모터가 기동 할 때마다 큰 전류가 흐르는데 이를 과전류로 인식하여 계전기가 동작한다면 모터를 운전시킬 수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기동 후에 몇 초 동안은 계전기가 동작하지 않도록 딜레이 시간을 주는 기능입니다.
모터의 예상 기동 시간을 설정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5~7초를 설정하는데
만약 모른다면 일단 D-TIME을 최대치로 설정합니다.
그리고 모터를 기동시 키고 클램프 메타로 전류를 잽니다.
전류의 값이 정상 운전 상태로 안정화되는 시간을 체크하시고
그 시간보다 1~2초의 여유를 두어 설정하시면 됩니다.
5) 동작 지연시간(O-TIME) 노브
over current Operation delay TIME으로
과전류가 몇 초동안 흘렀을 때 트립시킬지를 설정하는 노브입니다.
모터가 소손되지 않을 정도의 과전류가 잠깐 흐를 때마다 계전기가 트립된다면
오동작으로 인한 트립이 너무 빈번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3~5초로 설정하는데
LOAD값으로 설정한 전류가 3~5초 동안 흘러야만
계전기가 트립됩니다.
'같이 공부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KEC개정) 이중천장, 반자 내, 샌드위치판넬, 석고보드 등 난연CD 사용가능할까요? (6) | 2022.11.15 |
---|---|
(3상 누전차단기 원리) 220V 단상만 연결하여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할까요? (3) | 2022.11.15 |
KEC 접지시스템의 구성요소(접지도체, 보호도체, 보호등전위본딩도체 등 구별) (1) | 2022.11.12 |
3상차단기를 설치 또는 교체할때 주의할 점(선입후절, 역회전) (0) | 2022.11.12 |
소방설비나 엘리베이터는 누전차단기를 써야하는가 (0) | 2022.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