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인 차단기는 4P배선용 차단기이고
우측 1번 분기회로는 3P 배선용 차단기를 사용한 현장입니다.
우분기 1을 내리고 절연저항을 쟀더니 0메가옴이 측정되었습니다.
누전인가 싶었지만, 혹시나 해서 메인 차단기를 내린 후에 분기의 모든 차단기를 올리고 절연저항을 쟀더니 절연이 높게 나왔습니다.
전체 절연은 정상적이라는 것은 이 수용가에는 누전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우분기 1번만 내리고 우분기 1의 절연만 재면 누전이 된다는 것은 말이 안 되잖아요?
왜 절연저항이 0이 나오는 것이며, 올바른 절연측정 방법은 무엇일까요?

우측 1분기의 케이블을 보니
RST는 3P차단기에 물려있는데 중성선 N선은 부스바에 물려서 차단기를 거치지 않았습니다.

케이블을 따라가 보니 2층 분전함의 메인 차단기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이번엔 2층의 메인 차단기를 내리고 절연저항을 측정해봤습니다.
마찬가지로 절연저항은 0 메가 옴이었습니다.
왜 이렇게 측정되는지는 분기회로가 어떻게 연결되었을지를 예측해보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2층에서 절연을 재려면 메인 차단기를 내린 후에
절연저항계 적색 리드선은 메인 차단기의 N선 또는 분전반의 접지단자에 연결하고
흑색 리드선은 메인 차단기의 2차 측에 연결할 것입니다.

메인 차단기를 내렸으니 회로가 끊어진 상태에서 전로와 대지 간의 절연저항을 재는 것이라 생각하시겠지만
사실 3P차단기는 N선이 끊어지지 않습니다.
차단기 2차 측 적색 리드선에 메거의 시험 전압 500V를 가하면
리드선은 분기 차단기를 통해 부하를 거치고
부하에서 다시 메인 차단기의 N선 부스바를 통해 흑색 리드선으로 되돌아옵니다.
연결된 선에 메거를 쏜 것이므로 절연저항은 0 메가 옴이 뜰 수밖에 없고
이는 부하에 메거의 500V를 그대로 가한 것이므로 부하가 소손될 위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절연저항을 재야 할까요?

중성선을 부스바에서 분리하면 됩니다.
분리한 뒤에 부스바에서 떨어져 나온 N선에 메거의 흑색 리드선을 연결하고
3P차단기를 내리고 2차 측에 적색 리드선을 연결한다면
메거의 적색 리드선과 흑색 리드선 사이 연결된 회로가 없기 때문에
올바른 절연저항을 재실 수 있습니다.
3P차단기는 내려도 N선이 그대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절연측정에 불편함이 있는데요
손쉬운 절연저항의 측정, 점검 및 보수작업 등을 위해 4P차단기로 교체하시는 것이 나으실 수도 있습니다.
4P차단기는 내리면 중성선이 개방되기 때문에 그대로 흑색 리드선을 차단기 1차 측 N선에 연결하면 됩니다.
'같이 공부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전차단기 하나를 올리면 다른 하나가 떨어지고, 다른 하나를 올리면 처음 누전차단기가 떨어질때 (2) | 2022.11.18 |
---|---|
지중에 사용가능한 전선관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직접매설식과 관로식 차이) (0) | 2022.11.17 |
3상 부하에 3P 누전차단기를 설치했더니 계속 트립된다면? (0) | 2022.11.15 |
(KEC개정) 이중천장, 반자 내, 샌드위치판넬, 석고보드 등 난연CD 사용가능할까요? (6) | 2022.11.15 |
(3상 누전차단기 원리) 220V 단상만 연결하여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할까요? (3)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