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블을 직접 땅에 묻어도 될까요?
가능합니다.
수용가에서 적용 가능한 지중 전선로에는 직접 매설식과 관로식이 있습니다.
직접 매설식은 케이블을 직접 땅에다 묻는 방법이라 알고 있고
관로식은 관 내에 케이블을 넣어서 땅에 묻는 방법이라 알고 있습니다.
듣기로는 직접 매설식이 더 경제적인 것 같은데 실제 현장에서는 관로식으로 공사하죠.
1. 직접 매설식

직접 매설식에 의한 공사는 KEC 334.1의 4번 항에 따라 공사하시면 되는데요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서 시공하거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경우 판 또는 몰드로 덮어야 하는 등
관로식 공사보다 경제적이지 않고 시공이 복잡해 보입니다.
작은 수용가에서 적용하긴 더 힘들죠.
관로식에 의해서 공사하면 ELP관에 케이블을 넣어 시공하면 되니 훨씬 쉽고 경제적이니까요.
2. 관로식

관로식에 의한 공사는 KEC 334.1의 2번 항에 따라
매설 깊이는 1.0m, 이상으로 하되 매설 깊이가 충분하지 못하면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것을 사용하라고 되어있습니다.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곳은 0.6m이고요.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것에 해당하는 전선관은 어떤 근거에 의해 찾아야 할까요?
https://standard.go.kr/KSCI/standardIntro/getStandardSearchView.do
국가표준·인증 통합정보시스템
standard.go.kr
국가표준 KS C 3140
[전력용 케이블의 지중 매설 시공 방법]의
표 1 - 관로재의 종류
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관로식에 사용 가능한 전선관
3-1) 강관(금속관)

KS D 3507에서 규정하는 배관용 탄소강관에 금속 테이프를 감고 라이닝 등으로 부식 방지 처리를 한 것
KS D 3589에서 규정하는 압출식 폴리에틸렌 피복 강관
KS C 8401에서 규정하는 후강 전선관에 금속 테이프를 감고 라이닝 등으로 부식 방지 처리를 한 것.
이라고 나와있는데
제가 아는 강관은 전기배관용 KS C 8401의 금속관이네요.
그마저도 사용하려면 금속 테이프를 감고 라이딩 등으로 부식 방지 처리를 해야 한다고 합니다.
금속관은 지중에 사용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3-2) 콘크리트관

KS F 4403의 원심력 철근 콘크리트관
마찬가지로 사용하기 힘들 것 같습니다.
3-3) 합성수지관

KS C 8431의 경질 폴리 염화 비닐관, 흔히 말하는 HI-VE PIPE입니다.

부속서 A에서 규정하는 파상형 경질 폴리에틸렌 전선관, 흔히 말하는 ELP전선관입니다.
그리고 부속서 C에서 규정하는 설계 하중과 강도를 가지는 관입니다.
여기에 1종 금속제 가요 전선관(GW후렉시블)이 사용 가능할지는 애매모호하므로
현실적으로 지중에 사용 가능한 관은 HI-VE전선관과 ELP전선관이겠네요.
'같이 공부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형광등, LED에 잔광현상, 잔불현상이 생겼을때 원인 및 없애는법 (1) | 2022.11.23 |
---|---|
누전차단기 하나를 올리면 다른 하나가 떨어지고, 다른 하나를 올리면 처음 누전차단기가 떨어질때 (2) | 2022.11.18 |
3P차단기에 중성선 N선 부스바직결한 경우 절연저항 측정법 (1) | 2022.11.16 |
3상 부하에 3P 누전차단기를 설치했더니 계속 트립된다면? (0) | 2022.11.15 |
(KEC개정) 이중천장, 반자 내, 샌드위치판넬, 석고보드 등 난연CD 사용가능할까요? (6)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