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느 상가에서 전등을 교체했습니다.
차단기 A와 차단기 B 모두 전등 라인이었는데, 차단기 B 회로에 있는 전등 하나가 불이 들어오지 않아 업체를 불렀습니다.
수리 이후 전등을 잘 사용하다가 몇 달 뒤에 잘 사용하지 않던 차단기 A의 전등을 켜려다 보니까
차단기 A를 올리면 차단기 B가 떨어지고
차단기 B를 올리면 차단기 A가 떨어지는 것을 알아챘습니다.
차단기 A의 간접등도 사용해야 했기에 지인인 저에게 조치를 취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한 차단기를 올리면 다른 차단기가 떨어진다는 것은, 서로의 회로가 간섭이 되고 있다는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 원인이 누전이라 생각해서 먼저 각 회로의 절연저항을 쟀더니 둘 다 정상이었습니다.
누전이 아니라면, 두 회로가 연결되어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차단기 A와 차단기 B를 내리고
위 사진처럼, 멀티 테스트기를 이용해 차단기 A의 2차 측과 차단기 B의 2차 측 사이에 저항을 쟀습니다.
원래 각 분기회로는 각각의 부하에 연결되기 때문에 각 분기회로 사이에는 무한대의 저항이 측정되어야 합니다.
그런데 측정한 값이 한 자리대의 저항값이었습니다.
분기회로끼리 연결돼있는 거죠.

이는 공사업자분들도 신규 전등이나 콘센트를 추가할 때 흔히 사용하는 방법인 것 같습니다.
차단기 A에서는 SN 사이에 A-1 전등을 사용 중이고
차단기 B에는 TN 사이에 B-1, B-2 전등을 사용 중이었습니다.
그런데 B-2 전등에 불이 들어오지 않는 것이었습니다.
B-2 전등 자리에는 차단기 B로부터 온 적색(T상)과 연홍색(N상)이 이미 배선되어 있었는데요
연홍색 N상이 단선되어서 220V가 들어오지 않아 전등이 켜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정석적인 조치는 B-1에서 B-2로 가는 연홍색 배선을 새로 교체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현장 여건상 배선을 교체하는 것이 어려웠다고 판단했나 봅니다.
B-2에서 B-1은 멀리 떨어져 있지만, A-1은 B-2 바로 옆에 있었습니다.
그래서 A-1의 노란색 N선에서 선 하나를 연결해서 B-2로 가져왔습니다.
B-2는 원래 있던 적색(T상)과 노란색(N선)으로 220V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전등이 켜졌죠.

그러나 이렇게 N선을 공유해버리면 문제가 발생하는데요.
그림과 같이 차단기 A에서 나오는 전류 I는 ia와 ib로 나뉩니다.
ia는 차단기 A로 돌아가지만 ib는 차단기 B로 돌아가죠.
차단기 A의 입장에서는 들어가는 전류와 나오는 전류의 차가 생기는 것이므로 누전이라 생각하여 트립됩니다.
차단기 B의 입장도 마찬가지입니다.
B-1, B-2로만 흘러서 차단기 B로만 돌아와야 할 전류가
A-1을 통해 차단기 A로 흐르므로 누전이라 판단하겠죠.
그렇다면 전등 A, B를 전부 키기 위한 조치는 무엇일까요?

A에서 연결한 보라색 N선을 제거하고 B-1에서 연홍색 N선을 배선하는 것이 정석적인 조치지만,
정말 간단한 임시적 조치는 A회로와 B회로를 완전히 같은 회로로 만들어주면 됩니다.
차단기 B의 2차 측 전선을 풀어 차단기 A에 2회로를 연결하는 것이죠.
그러면 부하로 가는 모든 전류는 다시 차단기 A로 되돌아오므로 누전차단기는 트립되지 않습니다.
주의할 점은, 하나의 차단기에 2회로분의 부하가 연결되므로
부하 전류가 과하다면 이번엔 과전류로 차단기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연결된 부하를 고려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차단기 B에서 A로 전선을 옮기는 중에 결선의 실수가 있으면 쇼트가 발생합니다.
어떤 선이 점프되었는지는 모르므로 이에 주의해서 쇼트시키지 않도록 작업합니다.
차단기 A만 올리고 B는 내린 상태에서
전압계를 이용해
리드선 하나는 접지에 대고
리드선 하나는 차단기 B의 2차 측 단자에 하나씩 연결해 전압을 재봅니다.
차단기 B를 내려도 차단기 A가 올라가 있으므로 점프선에 의해 차단기 B의 두 단자 중 하나의 단자에는 전압이 뜹니다.
그 전압이 220V라면 핫상을 점프시킨 거니 전압이 뜬 단자에 있는 선을 차단기 A의 핫상에 연결합니다.
예를 들어 0.5 볼트 정도의 전압이 뜬다면(0 볼트가 아닌 매우 낮은 전압이 뜬다면)
N선을 점프시킨 것입니다.
(중성선은 미세한 전압이 존재함)
미세 전압이 뜬 단자에 있는 전선을 차단기 A의 N선에 연결합니다.
'같이 공부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상 220/380 겸용 모터의 결선법(와이결선, 델타결선) (4) | 2022.11.30 |
---|---|
형광등, LED에 잔광현상, 잔불현상이 생겼을때 원인 및 없애는법 (1) | 2022.11.23 |
지중에 사용가능한 전선관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직접매설식과 관로식 차이) (0) | 2022.11.17 |
3P차단기에 중성선 N선 부스바직결한 경우 절연저항 측정법 (1) | 2022.11.16 |
3상 부하에 3P 누전차단기를 설치했더니 계속 트립된다면? (0) | 202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