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상 모터 점검법 (절연저항 측정, 상간저항 측정, 전류측정)
본문 바로가기

같이 공부해요

3상 모터 점검법 (절연저항 측정, 상간저항 측정, 전류측정)

3상 모터의 THR, EOCR 또는 MCCB가 트립되었을 때 모터를 점검하여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수리하여야 합니다.

3상 모터가 전기적으로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누전 여부 판단 -> 코일의 절연저항 측정

차단기가 떨어질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누전입니다.

모터의 전류는 모터 내부 코일을 통해서만 흘러야 하는데

모터의 절연상태가 불량하다면 전류가 모터의 금속제 외부를 통해 누설됩니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 차단기가 트립되는것입니다.

모터의 절연상태가 정상인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메거를 이용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하며

분전함 내에서 측정하려는 모터의 MC 2차 측 각 선과 접지단자 사이에 리드선을 연결하고

500V의 직류전압을 가해 절연저항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모터의 절연저항은 2 메가 옴 이상이지만

누전된다면 0메가옴에 가까운 값이 측정됩니다.

단지 이렇게 측정한 절연저항은 모터까지의 전로와 모터 코일의 절연저항을 함께 측정한 것입니다.

다음은 모터가 문제인지, 전로가 문제인지를 파악해야죠.


모터의 접속 박스를 열어 분전함에서 온 전원을 분리합니다.

그 후 한 선은 접지된 모터의 외함, 한 선은 모터의 한 단자에 리드선을 연결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합니다.

누전이 아니라면, 모터는 이상이 없으며 모터까지 오는 케이블이 누전이므로 케이블의 상태를 점검해야겠죠.

누전이라면 모터를 수리해야 하고요.



2. 모터의 상간 저항 측정

3상 모터는 같은 권수로 감은 코일 3개 (1-4, 2-5, 3-6)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같은 권수로 감았기 때문에 각 코일의 저항은 같습니다.

같은 저항으로 이루어진 코일을 와이 결선 또는 델타 결선으로 결선하면

RS, ST, RT상간의 저항도 당연히 같습니다.

좁은 모터의 공간에 코일을 수천번 감기 위해서는

한번 코일을 감고, 절연층을 만들고, 그 위에 다시 코일을 감습니다.

각 상의 코일 저항을 측정하는 이유는

코일이 단선됐거나, 층간단락이 생겼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단선됐다면 한 코일의 저항이 다른 코일의 저항에 비해 턱없이 클 것이고

층간단락이 생겼다면 한 코일의 저항이 다른 코일의 저항에 비해 작겠지요.

모터의 상간 저항은 멀티 테스터기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멀티 테스트기의 리드선을

모터의 RT상 사이, TS상 사이, RS사이에 연결하여

각각 측정한 세 개의 값이 같은지 측정합니다.



3. 과전류에 의한 트립인지 확인 -> 각 상 전류 측정

각 상의 전류를 훅 온 메터로 측정하여

전류가 모터의 정격전류를 초과하지 않았는지 파악합니다.

모터의 정격보다 큰 전류가 흐른다면, 모터가 운전되는 환경을 파악하여 왜 과전류가 흐르는지 파악합니다.

적재된 부하가 과하지 않은지, 공극이 너무 타이트하여 모터가 회전하기 힘들지는 않은지,

베어링 손상 등의 기계적인 문제가 있지 않은지

각 상 저항의 불평형 또는 결상으로 인하여 한 상에만 과전류가 흐르지 않는지

회전 방향이 정해진 모터가 역회전하지는 않는지

먼지나 이물질에 의한 끼임으로 모터가 회전하기 힘들지는 않은지 등을 현장 상황에 맞게 파악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