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를 처음 공부하시거나 이론은 아는데 실무가 부족하신 분들, 실제 현장에서 일하시는 분들과 함께 공부하고자 합니다.
실무에 근거하였으나 학문적으로 전문적인 글이 아니므로 참고하여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류는 전선의 도체 부분을 통해서 흐릅니다.
그 이외의 방향으로는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전류가 통하기 힘든 절연체로 감싸 져 있습니다.
선풍기의 코드를 꼽으면 전류가 흐른다는 것을 알지만 멀쩡한 코드를 맨손으로 잡아도 감전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만약에 코드의 피복이 절단되거나 찍히는 등 손상된다면 도체 부분이 노출되어 전류는 흐르지 말아야 할 곳으로 흐를 것입니다.
이런 상태를 누전된다고 표현합니다.
절연이 잘 되어있으면 누전이 거의 없으며
절연이 잘 되어있지 않을수록 누전이 심해질 것입니다.
절연저항은 이런 절연의 정도를 저항값으로 측정한 것입니다.
저항이란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는 요소를 의미합니다.
절연저항이 높다면 누전의 정도가 약하다는 뜻이고
절연저항이 낮다면 누전의 정도가 심하다는 뜻입니다.
1. 부하 절연저항 측정
절연저항은 절연저항계(Megger)를 이용하여 측정합니다.
절연저항계는 검은색 리드선과 빨간색 리드선 사이에 직류전압을 가해 그 사이의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장비입니다.
선풍기의 플러그를 콘센트에 꼽으면 플러그의 철제 부분과 이어진 전선 내부의 도체를 통해서 선풍기 내의 모터까지 전류가 흐릅니다.
만약 선풍기의 절연이 나쁘다면 전선 내부 도체 부분에서 선풍기 철제 외함으로 전류가 흐를 테고 사람이 만지면 찌릿찌릿할 것입니다.

따라서 선풍기의 절연상태를 측정하기 위해선, 전기가 쓰지 말아야 할 선풍기의 철제 외함과 전기가 흘러야 할 플러그 금속부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면 됩니다.
이때 선풍기의 절연저항을 재기 위해서 플러그를 반드시 뽑고,
절연저항계의 빨간색 리드선을 선풍기 플러그의 금속부 중 한 곳에 연결하고,
검은색 리드선을 선풍기의 외함에 갖다 댑니다.
(선풍기가 코팅되어있다면 긁어서 코팅을 벗겨냅니다.)
마지막으로 절연저항계의 테스트 버튼을 눌러 검은색 리드선과 빨간색 리드선 사이의 저항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개별 부하의 절연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2. 분전함 내 측정
기기의 철제 외함이나 콘센트는 땅으로 접지시킵니다.
누전될 때 사람이 손으로 만져도 누설전류가 사람이 아닌 접지를 통해서 흐르도록 하여 감전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림과 같이 차단기가 선풍기에 연결되어있고 선풍기의 외함이 녹색으로 그린 것처럼 접지되어 있다면
차단기를 내린 상태에서
절연저항계의 검은색 리드선을 접지 측에 대고 빨간색 리드선을 차단기 2차 측에 댄 후에 절연저항을 측정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때는 선풍기만의 절연저항을 잰 것이 아니라
차단기 2차 측에서 나온 전선이 벽체 내부 콘센트를 거쳐서 선풍기에 다다르기까지의 모든 전선로의 절연저항을 측정한 것이 다른 점입니다.
차단기 2차 측 빨간색 한 번 검정색 한 번, 두 단자의 절연저항을 각각 재셔야 합니다.

다른 예시로 사진과 같은 분전반에서 메인 차단기는 내린 상태로 모든 분기 차단기를 올리고 절연저항을 측정한다면
이 수용가 전체의 절연저항을 측정한 것입니다.
만약 접지 단자대가 없다면 전기를 내린 상태에서 차단기 1차 측의 N선에 검은색 리드선을 연결하시고 측정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검전기를 가져다 댔을 때 울리지 않는 쪽이 N선, 주로 22년도 이전 백색, 이후 청색)
N선은 한전 변압기 쪽에서 중성선으로 사용하며 중성점 접지가 되어있기 때문에 접지단자를 대체하실 수 있습니다.
오래된 공동주택의 경우 단상 3 선식 110V에서 220V로 승압한 경우, 주택에 들어오는 선이 둘 다 H상인데
이때는 대지에 연결된 수도관 등을 접지단자로써 대체합니다.
3. 절연저항의 적합성 판단기준

이렇게 측정한 절연저항의 기준이
차단기로 구별 가능한 각각의 개별 회로마다
1MΩ이상의 수치가 나오면 적합한 것으로 봅니다.
(22년도 이전 건물에 대해서는 0.2 이상)
'같이 공부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선관의 종류 (0) | 2022.11.05 |
---|---|
저압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IV, HIV, HFIX, KIV 구별방법) (3) | 2022.11.05 |
핫상(RST)과 중성선(N)라인 찾는 3가지 방법 (0) | 2022.11.05 |
접지저항 측정법 (3단자 측정법, 간이 측정법) (1) | 2022.11.05 |
학점은행제를 이용한 빠르게 기사 자격증 취득하는 방법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