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핫상과 중성선
한전에서 공급되는 공급방식에는 단상과 3상이 있습니다.
3상은 R, S, T상과 N선 총 4가닥의 선이 들어오고
단상은 R, S, T상 중 하나의 선과 N선 총 2가닥의 선이 들어옵니다.
R상, S상, T상의 3개의 선을 각각 전력선, 핫상, 하트상(HOT LINE)이라고 표현하고
N선을 중성선, 뉴트럴(Neutral) 또는 현장에서는 N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엄밀히 말하자면 중성선은 '상'은 아닙니다.앞선 포스트에서 설명한 절연저항, 접지저항을 측정할 때 중성선을 찾아 측정할 수 있다.
2. 전선 색깔을 이용한 중성선 찾기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따른 22년도 이전 건축물의 전선 색깔은
R상 : 흑색
S상 : 적색
T상 : 청색
N선 : 백색
KEC에 따른 22년도 이루의 건축물의 전선 색깔은
R상 : 갈색
S상 : 흑색
T상 : 회색
N선 : 청색
입니다.
전선의 색상이 올바르게 표시되어 있다면 전선의 색상만 보고도 중성 선임을 쉽게 알아챌 수 있지만
현장에서는 부하단이나 말단에는 색상 표시를 안 하는 경우가 많고, 작업자의 실수로 색상이 틀리게 표시된 경우도 많아 색상을 무조건 신뢰하여 중성선인 줄 알고 맨손으로 잡았다가 감전사고가 나는 경우도 흔하니
전선 색상에 따른 상 구별법은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3. 검전기를 이용한 중성선 찾기

검전기는 전압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장비로
검전기를 활선상태의 전력선에 가져다 대면 소리가 울리면서 전기가 살아있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중성선의 전압은 이론적으로 0V이므로 검전기를 가져다 대도 울리지 않습니다.
따라서 검전기를 가져다 댔을 때 검전기가 울린다면 핫상이고 울리지 않는다면 중성선입니다.
하나 실제로는 각 상 불평형에 의한 잔류 전압이 중성선에 나타나게 되는데 검전기가 매우 민감한 경우 검전기를 중성선에 갖다 대면 울리는 경우도 있는데, 검전기의 감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4. 전압계를 이용한 중성선 찾기
R상, S상, T상의 대지 전압은 220V입니다.
중성선의 대지 전압은 0V에 가까운 매우 작은 전압입니다.
따라서 전압계 리드선 두 개 중 하나를 분전함 내의 접지단자와 연결하고 하나를 전선에 연결했을 때,
220V라면 하트상이고 0V에 가까운 매우 작은 전압이라면 중성선입니다.
'같이 공부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선관의 종류 (0) | 2022.11.05 |
---|---|
저압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IV, HIV, HFIX, KIV 구별방법) (3) | 2022.11.05 |
접지저항 측정법 (3단자 측정법, 간이 측정법) (1) | 2022.11.05 |
절연저항 측정법, 누전 확인 (1) | 2022.11.04 |
학점은행제를 이용한 빠르게 기사 자격증 취득하는 방법 (0)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