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는 저압 현장을 위주로 시공하므로 고압이나 특고압에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는 잘 알지 못하여 저압에서 주로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1. 절연전선
1)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전선(iv)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전선으로, 주로 iv라고 부릅니다.
i : 절연(insulated)
v : 비닐(vinyl)
절연물은 PVC이고 도체 허용 온도는 70℃입니다.
옥내배선에 사용되는 선으로 iv는 단독으로 노출하여 시공할 수 없고 애자 사용공사, 합성수지관, 가요 전선관, 금속관, 덕트 등에 넣어서 시공합니다.
육안으로는 다른 절연전선이랑 구별하기 힘드나
60227 KS IEC 01
이라고 써진 절연전선이 이것입니다.
내부에 소선이 하나면 단선이고 여러 개면 연선입니다. 소선이 많을수록 구부러지기 쉬워서 배선작업 시 유리합니다.
2) 내열성 비닐절연전선 (HIV)
H : 내열(Heat-Resistant)
i : 절연(insulated)
v : 비닐(vinyl)
일반용 비닐절연전선에 비해서 내열성이 뛰어난 전선으로 주로 옥내배선 및 소방 회로에 사용합니다.
전류가 흐르면 열이 발생하므로 절연물이나 허용 온도에 따라 전선의 허용전류가 다른데,
내열성이 뛰어나 iv에 비해서 허용전류가 높습니다.
절연물은 PVC이나 허용 온도가 90℃로 전선의 허용전류를 계산할 때는 XLPE에 준하여 계산합니다.
육안으로는 iv와 구별하기 힘드나
전선의 표면에 HIV라 쓰여있고 허용 온도 또한 90℃라 쓰여있으며
iv가 60227 KS IEC 01이라 적힌 반면에
HIV는 KS C 3328이라고 적혀있습니다.
HIV는 생산이 중단되어 현재 HFIX가 대체되어 사용됩니다.
3)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전선(HFIX)


HFIX는 HIV가 2006년 iec국제규격이 도입되면서 생산이 중단되어 대체된 전선으로
기존 전선에 비해 내열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화재 시 독성가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절연물은 PVC이나 허용 온도가 90℃로 전선의 허용전류를 계산할 때는 XLPE에 준하여 계산합니다.
육안으로는 iv와 구별하기 힘드나
전선의 표면에 HFIX라 쓰여있고 KS C 3341이라 쓰여있습니다.
소방 회로에는 소방법에 따라 내열성이 뛰어난 HFIX를 쓰지만 수분 침투에는 약하여 누전이 발생하기도 하여 전기회로에는 iv를 쓰기도 합니다.
4) 기기 배선용 단심 비닐 절연전선 (kiv)

iv의 소선이 한 개 또는 7개라면 kiv는 매우 많은 소선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iv에 비해서 가요성이 매우 뛰어나 전기기기 내부 배선용으로 사용되는 절연전선입니다.
절연물은 PVC이고 도체 허용 온도는 70℃입니다.
육안으로는 iv랑 구별하기 힘드나 전선의 표면에
KS 60227 IEC 05~07이라고 적혀있습니다.
5) 비닐시스 원형 코드(VCTF)
60227 KS IEC 52, 53, 56, 57

VCTF는 절연전선이 아니라 코드선입니다.
코드선이란 전자제품 콘센트 플러그에 연결된 선과 같습니다.
매우 많은 소선으로 이루어져 있어 피복도 매우 부드러워 구부려지기 쉽습니다.
그러나 외부로부터의 찍힘, 베임 등에 취약합니다.
옥내배선에는 절연전선이나 케이블을 사용하도록 되어있는데
절연전선이 아니므로 옥내배선 및 고정배선으로는 사용할 수 없으며
[KEC 234.2 코드의 사용]에 따라 조명용 전원코드, 이동전선, 진열장 등의 내부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인입용 비닐절연전선 (DV)


주택단지를 걸어가다 보면 전주에서 주택의 계량기까지 검은색과 녹색선이 엉켜서 공중으로 들어오는 것을 보실 수 있는데 이게 DV전선입니다.
(D : Drop wire, V : Vinyl)
DV전선은 가공 인입선으로 사용되는 절연전선으로 관을 씌우지 않고 시공하며, 케이블이 아니므로 인입선 공사 시 조가 용선을 시공하지 않아도 됩니다.
단상이고 굵기 대신 직경 2.0~3.2mm로 제작됩니다.
3상이거나 단상이라도 계약용량이 높은 수용가의 경우는 dv 대신 cv를 사용합니다.
7) 접지용 비닐절연전선(GV)

접지에 사용하는 전선입니다.
예전에는 녹색이었으나 KEC로 바뀐 후 녹색과 노란색이 교차하는 색입니다.
iv보다 난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합니다.
반드시 iv가 아닌 gv로 접지를 하라는 규정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메인 접지나 큰 설비의 접지는 GV로 하고 분전함에서 콘센트나 전등으로는 iv로 접지합니다.
2. 케이블
1)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CV)

CV는 대표적인 케이블로 도체가 XLPE로 먼저 절연되어있고 그 밖을 비닐시스가 감싸고 있습니다.
절연물은 XLPE고 허용 온도가 90℃입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절연전선과 달리 강도가 강하여 관을 씌우지 않아도 시공 가능하나 가격이 비쌉니다.
2) 비닐 캡타이어 케이블(VCT)

VCT는 KIV처럼 소선이 수많은 연선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CV보다 가요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VCTF가 코드선인데 반해 VCT는 케이블로 분류되기 때문에 고정배선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같이 공부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설비기술기준 판단기준 -> KEC 주요 개정사항 (0) | 2022.11.06 |
---|---|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선관의 종류 (0) | 2022.11.05 |
핫상(RST)과 중성선(N)라인 찾는 3가지 방법 (0) | 2022.11.05 |
접지저항 측정법 (3단자 측정법, 간이 측정법) (1) | 2022.11.05 |
절연저항 측정법, 누전 확인 (1) | 2022.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