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누전차단기 하나를 올리면 다른 하나가 떨어지고, 다른 하나를 올리면 처음 누전차단기가 떨어질때 어느 상가에서 전등을 교체했습니다. 차단기 A와 차단기 B 모두 전등 라인이었는데, 차단기 B 회로에 있는 전등 하나가 불이 들어오지 않아 업체를 불렀습니다. 수리 이후 전등을 잘 사용하다가 몇 달 뒤에 잘 사용하지 않던 차단기 A의 전등을 켜려다 보니까 차단기 A를 올리면 차단기 B가 떨어지고 차단기 B를 올리면 차단기 A가 떨어지는 것을 알아챘습니다. 차단기 A의 간접등도 사용해야 했기에 지인인 저에게 조치를 취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한 차단기를 올리면 다른 차단기가 떨어진다는 것은, 서로의 회로가 간섭이 되고 있다는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그 원인이 누전이라 생각해서 먼저 각 회로의 절연저항을 쟀더니 둘 다 정상이었습니다. 누전이 아니라면, 두 회로가 연결되어있을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차.. 지중에 사용가능한 전선관은 어떤 것이 있을까요? (직접매설식과 관로식 차이) 케이블을 직접 땅에 묻어도 될까요? 가능합니다. 수용가에서 적용 가능한 지중 전선로에는 직접 매설식과 관로식이 있습니다. 직접 매설식은 케이블을 직접 땅에다 묻는 방법이라 알고 있고 관로식은 관 내에 케이블을 넣어서 땅에 묻는 방법이라 알고 있습니다. 듣기로는 직접 매설식이 더 경제적인 것 같은데 실제 현장에서는 관로식으로 공사하죠. 1. 직접 매설식 직접 매설식에 의한 공사는 KEC 334.1의 4번 항에 따라 공사하시면 되는데요 트라프 기타 방호물에 넣어서 시공하거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경우 판 또는 몰드로 덮어야 하는 등 관로식 공사보다 경제적이지 않고 시공이 복잡해 보입니다. 작은 수용가에서 적용하긴 더 힘들죠. 관로식에 의해서 공사하면 ELP관에 케이블을 넣어 시공하면 되니 훨씬 쉽고 경제.. 3P차단기에 중성선 N선 부스바직결한 경우 절연저항 측정법 메인 차단기는 4P배선용 차단기이고 우측 1번 분기회로는 3P 배선용 차단기를 사용한 현장입니다. 우분기 1을 내리고 절연저항을 쟀더니 0메가옴이 측정되었습니다. 누전인가 싶었지만, 혹시나 해서 메인 차단기를 내린 후에 분기의 모든 차단기를 올리고 절연저항을 쟀더니 절연이 높게 나왔습니다. 전체 절연은 정상적이라는 것은 이 수용가에는 누전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것인데 우분기 1번만 내리고 우분기 1의 절연만 재면 누전이 된다는 것은 말이 안 되잖아요? 왜 절연저항이 0이 나오는 것이며, 올바른 절연측정 방법은 무엇일까요? 우측 1분기의 케이블을 보니 RST는 3P차단기에 물려있는데 중성선 N선은 부스바에 물려서 차단기를 거치지 않았습니다. 케이블을 따라가 보니 2층 분전함의 메인 차단기로 사용하고 있었습니.. 3상 부하에 3P 누전차단기를 설치했더니 계속 트립된다면? 그림과 같은 4P 배선용 차단기에서 에어컨이나 콤프레셔 등의 3상 부하가 연결돼있었습니다. 그런데 누전에 대한 보호가 되지 않으므로 3상 부하 앞에 3P 누전차단기를 연결하기로 했습니다. 이렇게 3상 부하 앞에 3P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면 누전차단기는 정상적으로 동작할까요? 당연히 3상만 사용하는 부하라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누전점이 없다면 R상에 흐르는 전류는 부하를 거쳐서 S상과 T상에 나눠서 돌아옵니다. 나눠지지만 합치면 R과 같은 크기겠죠. 마찬가지로 S상에 흐르는 전류는 R, T상으로, T상의 전류는 R, T로 되돌아옵니다. 결국 ZCT 내에서 들어오는 전류와 나오는 전류가 같으므로 서로 상쇄되어 ZCT에는 기전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3P 누전차단기로 바꾸면 차단기가 올라가지도 않는.. (KEC개정) 이중천장, 반자 내, 샌드위치판넬, 석고보드 등 난연CD 사용가능할까요? 1. 법 개정의 배경 17년, 18년 이어서 천장 은폐 배선에서 화재사고가 났습니다. 그 공장의 이중 천장 내부에 난연 CD관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거기서 불이 났습니다. 난연 재질이니 불에 타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잘못된 생각이었죠. 난연이란 불에 타기 힘들 재질인데, 완전히 불에 타지 않는 불연이랑은 다른 개념입니다. 이중 천장이란 말 그대로 이중적인 천장 구조인데요 화장실의 천장이나 사무실의 택스 등에서 주로 볼 수 있습니다. 위에 원래 콘크리트 천장이 있는데 전등이나 천장형 에어컨 등을 설치하기 위해 원래 천장 아래에 공간을 두고 원래 천장 아래 천장을 하나 더 두는 구조입니다. 앞서 말한 공장의 난연 CD관이 불에 타면서 유독가스가 발생했는데 이 가스가 이중 천장 내에 갇혀있었습니다. 그러다 .. (3상 누전차단기 원리) 220V 단상만 연결하여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할까요? 당연히 단상 누전차단기는 단상 부하에, 3상 누전차단기는 3상 부하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그러나 전기인으로써 궁금하기도 하죠. 3상 누전차단기에 단상을 사용하면 누전 시에 정상적으로 동작할까요? 정답은 어떻게 연결하냐에 따라 동작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다입니다.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1. 3상 누전차단기의 원리 누전차단기 내부에는 ZCT가 들어있다는 것을 아실 것입니다. 4P 누전차단기의 ZCT에는 R, S, T, N의 전선 4가닥이 ZCT를 통과합니다. R상에 흐르는 전류는 N선으로 되돌아옵니다. T, S상에 흐르는 전류도 마찬가지로 N선으로 되돌아오죠. 결국 N선에는 R, S, T선에서 흐르는 전류가 모두 되돌아옵니다. 누전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ZCT 입장에서는 검은색은 .. 열동계전기 THR, 전자식과전류계전기 EOCR 설정방법 모터를 과부하로부터 보호하는 계전기에는 열동 계전기 THR과 전자식과전류계전기가 있습니다. 각각의 특징과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열동 계전기(THR) 1) 1,2차 측 단자 열동 계전기는 Thermal Overload Relay로 열로 동작하는 과전류 계전기입니다. 1차 측 3 단자에 전원 RST상이 연결되고 2차 측 3 단자에 모터와 연결됩니다. 내부에 바이메탈이라는 온도 특성이 다른 두 개의 얇은 쇠붙이를 붙여놓은 금속이 들어가 있는데 온도가 높아지면 두 금속의 팽창률의 차이로 벌어지면서 접점이 개폐되는 원리로 동작합니다. 2) a, b접점 접점이 개폐되면서 직접 모터의 대전류를 차단기 시키는 게 아니라 b접점이 개방되면서 MC로 들어가는 코일의 제어회로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입니다. ..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전기기능사, 전기산업기사, 전기기사 취득 후 취업경로 전기자격증 취득 후에 무슨 일을 할 수 있을까 전기업종에는 무슨 일이 있고 무슨 일을 하며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를 생각하며 적은 글입니다. 모든 직종에서 다 일을 해본 게 아니라 보고 들은 바를 토대로 적은 것이니 참고만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전기공사업체의 내선공사 시공자 (내선조공, 내선전공) 전기공사업체에서 일을 하는 내선공사 시공자로써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전기자격증이 꼭 필요하진 않은 일입니다만 보통 공사현장에서 일을 하시면서 자격증을 취득하시고 공장이나 공사 공무, 또는 현장소장 등으로 옮겨가시는 것 같아요. 한전의 전주나 변압기에서 우리가 사는 건물의 전기실까지 전기가 공급되고 전기실에서 또 저희가 사는 층의 세대까지 전기가 들어옵니다. 또 집 안에서 벽에 있는 콘센트나 .. 이전 1 2 3 4 5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