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5) 썸네일형 리스트형 계약전력에 따른 차단기, 전선 굵기 계약전력은 고객 전기사용설비를 전력으로 환산한 값으로 전기요금 계산 시에 기준이 되는 값입니다. 즉, 하루 15시간을 기준으로 30일 동안 사용할 전력량을 미리 파악해 한전과 계약을 맺는 전력입니다. 만약 수용가의 계약전력이 10KW라면 여기에 450h(15시간씩 30일)을 곱한 4500 KWh, 한 달 동안 4500 KWh의 전력량을 쓰겠다고 미리 계약을 맺는 것입니다. 계약전력이 높아지면 기본요금도 올라가지만 계약전력이 너무 낮으면 월간 사용전력량이 계약전력 x450을 초과했을 때 '초과사용부가금'이 부과되어 요금폭탄을 맞을 수도 있습니다. 계약용량에 비해 전력량을 과하게 소비하면 부과금을 맞고 한전에서 계약용량을 증설하도록 안내합니다. 계약용량을 증설한다는 건 어떻게 보면 수용가에서 처음 건물을 지.. 변경된 KEC에 맞춘 공사방법 및 시설장소에 따른 구분(난연CD 사용가능장소, 옥외에 사용가능한 전선관) 내선규정 표 2210-1 시설 장소와 배선 방법에서 내선규정과 설비규정이 KEC로 바뀌면서 많은 것이 바뀌었습니다. 위 표는 전기설비 검사·점검 기준(KESC)의 [표380-5 공사방법 및 시설장소 구분] 에서 올해 규정된 KEC에 맞춰 현행에 맞게 수정한 것입니다. 1. 합성수지관 은폐장소 사용 불가능 https://pikachuu.tistory.com/24 (KEC개정) 이중천장, 반자 내, 샌드위치판넬, 석고보드 등 난연CD 사용가능할까요? 1. 법 개정의 배경 17년, 18년 이어서 천장 은폐 배선에서 화재사고가 났습니다. 그 공장의 이중 천장 내부에 난연 CD관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거기서 불이 났습니다. 난연 재질이니 불에 타지 않을 pikachuu.tistory.com 2. 1종 금속제 가요 .. 일반CD관과 난연CD관의 공사방법 차이 일반 CD관과 난연 CD관은 육안으로 차이가 별로 없습니다. CD관은 합성수지관의 한 종류로, 가요성이 매우 좋고 저렴해서 배관 작업 시 매우 유용하게 사용하는 관입니다. 그중 일반 CD관은 불에 잘 타지만, 난연 CD관은 불에 타기 힘듭니다. 불연과 난연은 구별하여야 하는데요. 불연은 불에 타지 않고 난연은 타긴 하지만 타기 힘듭니다. 일반적으로 일반 CD관은 흑색, 난연 CD관은 흰색으로 나와서 구별 가능했는데 지금은 일반이든 난연이든 여러 색깔로 나오기 때문에 육안으로는 구별하기 어렵습니다. https://pikachuu.tistory.com/m/24 (KEC개정) 이중천장, 반자 내, 샌드위치판넬, 석고보드 등 난연CD 사용가능할까요? 1. 법 개정의 배경 17년, 18년 이어서 천장 은폐 배선에.. 절연저항 측정시 500V가 아닌 250V로 측정하여도 문제가 없을까요? SPD 사용시 절연저항이 낮게 나오는 이유 제52조 (저압전로의 절연성능) 전기사용 장소의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전선 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은 개폐기 또는 과전류차단기로 구분할 수 있는 전로마다 다음 표에서 정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전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기계기구를 쉽게 분리가 곤란한 분기회로의 경우 기기 접속 전에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시 영향을 주거나 손상을 받을 수 있는 SPD 또는 기타 기기 등은 측정 전에 분리시켜야 하고, 부득이하게 분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시험전압을 250V DC로 낮추어 측정할 수 있지만 절연저항 값은 1MΩ 이상이어야 한다. 원칙적으로는 저압 전로의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 DC 500V를 가해서 측정해야 하며 그 값은 21년도 이전에는 그 값이 0.2 메가 옴 이상, 21년도 이.. 3상 모터 점검법 (절연저항 측정, 상간저항 측정, 전류측정) 3상 모터의 THR, EOCR 또는 MCCB가 트립되었을 때 모터를 점검하여 이상 여부를 파악하고 수리하여야 합니다. 3상 모터가 전기적으로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점검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누전 여부 판단 -> 코일의 절연저항 측정 차단기가 떨어질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누전입니다. 모터의 전류는 모터 내부 코일을 통해서만 흘러야 하는데 모터의 절연상태가 불량하다면 전류가 모터의 금속제 외부를 통해 누설됩니다. 이를 보호하기 위해 차단기가 트립되는것입니다. 모터의 절연상태가 정상인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메거를 이용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하며 분전함 내에서 측정하려는 모터의 MC 2차 측 각 선과 접지단자 사이에 리드선을 연결하고 500V의 직류전압을 가해 절연저항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정상적인 .. 3상 와이델타모터 결선방법 https://pikachuu.tistory.com/m/31 3상 220/380 겸용 모터의 결선법(와이결선, 델타결선) 모터 명판을 보시면 220/380이라고 명시되어있습니다.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압이 3상 220V이라면 220V 전용 모터를 사야 하고 3상 380V라면 380V 전용 모터를 사야 하는데 220/380 겸용 모터는 어느 현장 pikachuu.tistory.com 이 글을 보시기 전에 위 글을 먼저 보시고 오시면 도움이 되실듯합니다. 사진과 같은 사용전압 480V의 모터가 있다고 한다면 직입 기동 모터는 모터를 델타 결선하여 480V를 바로 공급하여 기동 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모터는 기동시에 정격전류의 5-7배의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릅니다. 용량이 적은 모터의 경우에는 직입 기동을 하.. 3상 220/380 겸용 모터의 결선법(와이결선, 델타결선) 모터 명판을 보시면 220/380이라고 명시되어있습니다. 현장에서 사용하는 전압이 3상 220V이라면 220V 전용 모터를 사야 하고 3상 380V라면 380V 전용 모터를 사야 하는데 220/380 겸용 모터는 어느 현장에서나 사용할 수 있는 모터입니다. 이 모터의 코일의 정격은 220V인 6선 모터인데, 사용전압에 따라 결선만 제대로 해주면 됩니다. Y결선은 상전압이 선간 전압의 루트 3분의 1로 감압됩니다. 따라서 사용전압이 3상 380V인 경우 Y결선으로 연결해야 코일에 220V가 가해지죠. 델타 결선은 상전압이 선간 전압과 같습니다. 따라서 사용전압이 3상 220V인 경우 델타 결선으로 연결해야 코일에 220V가 가해지죠. 220/380 겸용 6선 모터의 단자대를 열어보시면 숫자 또는 알파벳으로.. 형광등, LED에 잔광현상, 잔불현상이 생겼을때 원인 및 없애는법 전등을 꺼도 미세한 밝기로 전등이 켜져 있거나 깜빡깜빡거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잔광 현상 또는 잔불 현상이라고 부릅니다. 예전 백열전등을 쓸 때보다 형광등, LED를 쓰면서 자주 나타나는데요 등에 이상이 있다고 생각해 등을 교체해도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추정되는 원인은 어떤 것이 있고,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1. 램프형 스위치 또는 전자식 스위치 사용 사진과 같은 램프형 스위치 또는 전자식 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발생하곤 합니다. 램프형 스위치는 스위치 내부에 매우 큰 저항과 작은 램프가 들어있습니다. 스위치를 껐을 때 스위치 내 램프를 통해 아주 미세한 전류가 흘러 스위치의 램프가 켜집니다. 스위치를 켜게 되면 저항은 전류는 저항이 큰 램프 쪽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고 스위치.. 이전 1 2 3 4 5 다음